한국에 새 대통령이 들어섰는데, 미국 주류 언론은 왜 모른척하는가?
한국의 ‘민주적 정권교체’는 왜 뉴스 뒷전이 되었나
2025년 봄, 대한민국은 또 한 번 민주적 정권교체를 이뤄냈다. 여당이든 야당이든, 민심은 투표로 드러났고, 국정 방향은 달라졌다.
하지만 그 역사적인 장면이 미국의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CNN 같은 주류 언론의 사이트를 보아도 헤드라인으로 뽑은 언론은 찾아볼수없고 뉴욕타임즈만 하단에 작은 박스기사로 다루고 있다.
북한 없는 한국은 뉴스가 아니다
미국 언론의 한국 보도는 늘 북한이라는 필터를 통해 이뤄진다. 한국 대선이 북핵 정책에 직접적인 충격을 주지 않는 이상, 관심은 떨어진다.
새 대통령이 누가 되었든, 북에 대한 접근이 “극적 변화”가 아니라면, 그냥 ‘관리 가능한 변화’로 취급된다.
이는 한국이 독립적인 국가로서 가진 정치적 역동성과 복잡성이 단순화되는 지점이다.
미국 중심주의의 냉정한 현실
미국 언론이 외신을 다룰 때는 기본적으로 묻는다. “우리(미국)에게 어떤 영향을 주는가?” 즉, 한국의 정권교체가 미중 갈등의 구도에 영향을 주는지, 미군 주둔 문제를 흔드는지, 미국 기업이나 무역에 직격탄을 날리는지를 따진다.
그렇지 않다면 대개 ‘참고용 기사’로 끝난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한국의 정치적 변화는 미국의 전략적 이익에 직접적인 위협이나 기회가 되지 않는 한 주목받기 어렵다.
국내 뉴스로 과열된 미국 언론
지금 미국 뉴스 시장은 트럼프 재판, 바이든 건강 이상설, 인플레이션과 금리, 불법이민과 국경 문제, 우크라이나, 가자지구, 대만 해협 문제 등으로 하루 24시간도 모자란 상황이다.
미국 언론의 뉴스 어젠다는 철저히 미국 독자들의 관심사와 직결되어 있고, 한국 대선은 중요하지만 ‘지금 당장’은 아니라고 여겨진다. 뉴스 가치의 우선순위에서 밀려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한계가 있다.
한반도보다 일본과 중국이 먼저
안타깝지만 전략적으로 미국 언론이 먼저 주목하는 국가는 1순위 일본, 2순위 중국, 3순위가 되어버린 한국이다. 한국이 세계적인 뉴스의 중심이 되려면, 중국처럼 위협이 되거나, 일본처럼 확고한 축이어야 한다.
조용하고 안정적인 우방이라면 그건 오히려 뉴스 가치가 낮다. 역설적이게도 한국의 민주주의 성숙도와 안정성이 언론의 관심을 덜 받는 이유가 되고 있다.
극적인 요소가 없는 리더는 조용히 넘어간다
만약 새 대통령이 미국에 도전장을 내밀거나, “미군 철수!” “중국과 군사동맹!” 같은 발언이라도 했다면, FOX든 CNN이든 즉시 헤드라인으로 올렸을 것이다.
하지만 새 대통령이 “예상 가능한 외교 노선”을 취한다면 흥미는 줄어든다.
미국 언론은 조용한 지도자보다, 위험한 지도자를 더 자주 다룬다. 안정성은 뉴스가 되지 않는다.
마무리하며
대한민국은 미국의 가장 가까운 동맹국 중 하나다. 하지만 그 ‘가까움’은 언론의 주목과는 별개다. 뉴스란 사건이 아니라 충격이다. 이 진리를 기억한다면, 미국 언론의 침묵은 무관심이 아니라 “예상 가능성”에 대한 조용한 칭찬일지도 모른다.
결국 한국의 민주주의가 성숙하고 안정적이라는 것은 분명 자랑스러운 일이다. 다만 그것이 국제적 주목도와는 반비례한다는 아이러니를 우리는 받아들여야 한다. 극적인 변화보다는 점진적 발전을, 충격적 반전보다는 예측 가능한 안정을 택한 한국의 선택이 때로는 뉴스의 사각지대에 놓일 수밖에 없다는 현실 말이다.
기고자: 국제정치 전문 칼럼니스트 홍 철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