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를 떠나는 할리우드, 세금 인센티브에도 광고 제작업계는 ‘찬밥 신세’
#할리우드위기 #LA영화산업 #세금인센티브 #광고제작소외 #콘텐츠산업위기
캘리포니아 주정부가 할리우드 위기 극복을 위해 7억5000만 달러(약 1조 645억 원) 규모의 영화·TV 제작 세액공제 법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광고(커머셜) 제작업계는 이번 지원에서 제외돼 불만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LA 지역의 광고 촬영은 지난 10년간 40% 가까이 급감했지만, 새 법안의 세금 혜택은 영화와 TV에만 집중된다.
왜 광고(커머셜) 제작은 소외됐나
- 캘리포니아의 세액공제 정책은 전통적으로 영화·TV 대형 제작에 집중되어 있다. 이번 법안 역시 “더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는 대형 제작”을 우선 보호한다는 취지에서 광고, 게임쇼, 애니메이션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됐다.
- 실제로 조지아, 프라하 등 해외 및 타주에서는 인건비와 세금 혜택이 더 좋아 LA에서 광고를 제작할 유인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 광고업계 종사자들은 “광고 촬영이 LA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5%에서 25%로 급감했다”고 토로한다.
- LA 지역 광고 촬영 일수는 FilmLA 통계 기준 최근 1분기에도 22% 감소하는 등 하락세가 뚜렷하다.
세금 혜택, 왜 효과가 제한적인가
- 캘리포니아의 세액공제는 전체 제작비의 75% 이상을 주 내에서 지출해야 20~25% 환급을 받을 수 있다2. 하지만 광고 제작은 단발성·소규모가 많아 이런 기준을 충족하기 어렵다.
- 조지아 등 경쟁 지역은 고액 인건비까지 세액공제에 포함시키고, 광고·애니메이션 등도 지원 대상에 포함해 더 매력적인 환경을 제공한다.
- 업계에서는 “할리우드가 자동차 산업의 본산이었던 디트로이트처럼 몰락할 수 있다”는 경고까지 나온다.
광고업계 종사자들의 위기감
- 광고 촬영 현장 스태프들은 “20일 일하던 달이 6일로 줄었다”며 생계 위기를 호소한다.
- 광고 제작사 대표들은 “유럽, 아시아 등 해외로 촬영을 옮길 수밖에 없다. 하지만 익숙한 LA에서 일하고 싶다”고 토로한다.
정치권의 입장과 한계
- 법안 발의 의원들은 “더 많은 예산이 있다면 광고 등도 포함하고 싶지만, 한정된 재원으로 대형 제작을 우선 지원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 세액공제 정책의 실효성 논란도 있다. 고액 출연료를 받는 배우·감독은 제외, 신청 기간이 짧아 실질적 효과가 제한적이라는 지적이 잇따른다.
글로벌 경쟁 심화, 산업구조 변화
- 팬데믹, 파업, 산불 등 복합 위기로 LA 영화·TV 산업의 고용은 2022년 대비 40% 감소했고, 실업률도 20%에 달한다.
- 영국, 캐나다, 체코 등은 더 강력한 인센티브와 저렴한 비용으로 할리우드 제작사들을 유치하고 있다.
“일자리가 사라진 게 아니라 옮겨간 것이다. 우리는 그 일자리를 다시 가져와야 한다.”
— 벤 애플렉, 할리우드 스타
결론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대규모 세금 인센티브에도 불구하고, 광고 제작업계는 정책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글로벌 경쟁 심화와 비용 부담, 제한적 지원 정책이 맞물리며 LA의 광고·영화 산업은 위기를 겪고 있다. 산업 전반의 재도약을 위해서는 대형 제작뿐 아니라 광고 등 다양한 콘텐츠 제작업종을 포괄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