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에 투입된 주방위군은 단지 질서 회복인가, 권력 강화의 시그널인가
연방군이 로스앤젤레스에 들어섰다. 장갑차의 바퀴 자국이 도심을 지나고, 밤하늘엔 군용 헬기의 소음이 진동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질서 회복을 위한 필요불가결한 결정”이라 말한다. 그러나 진짜 질문은 따로 있다.
“연방군 투입 이후, 대통령은 어디까지를 바라보고 있는가?”
▪︎ 군사력은 수단이다… 목적은 ‘이미지 통치’
이번 작전은 단순한 치안 대응으로 보기 어렵다. 대통령이 직접 연방 병력을 캘리포니아 도심에 배치한 것은 정치적 메시지를 시각화한 사건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사태를 “무정부 상태를 연방이 바로잡았다”는 서사로 포장하고 있다. 이는 군대가 아닌, 이미지의 통치다.
국민에게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각인시키는 것이다:’ “나라가 혼란에 빠졌을 때, 나는 움직였다.” “민주당은 방관했고, 나는 구했다.”
그는 행동했고, 이제 그 행동이 하나의 기억 조작 효과를 노리고 있다. 그것은 “군을 보냈다”가 아니라 “군을 보낼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은 나였다”는 확신을 주는 일이다.
▪︎ 질서 회복 후의 다음 단계는?
질서는 잠시 돌아왔다. 그러나 질문은 이어진다. 그다음은 무엇인가?
정치권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조치를 계기로 다음과 같은 수순을 밟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무능 공식화
- 연방 정부 권한의 지역 통제 확장
- ‘국가 비상대응 시스템’ 재편 주도
- 이민자·급진좌파 등 ‘내부의 적’ 규정 강화
- 대선 국면에서의 ‘위기 속 리더’ 이미지 고착화
이는 단순한 위기 대응이 아니다. 정권 재창출을 위한 서사의 초석이자, 권한 집중의 전주곡일 수 있다.
계엄령은 없지만, 계엄의 분위기는 존재한다
헌법은 대통령의 전국 계엄령 선언을 극도로 제한하고 있다.
그러나 그 제한 속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계엄에 준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