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개국 “중동 확전 막아야…핵시설 공격 중단·협상 복귀 촉구”
#이스라엘 #이란 #이슬람권공동성명 #중동위기 #핵협상 #확전위기 #외교해법 #국제법 #중동평화
중동과 그 너머의 이슬람권 국가들이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에 대해 전례 없는 강도 높은 공동 규탄 성명을 발표했다.
이집트 외교부가 주도한 이번 성명에는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오만, 요르단 등 걸프 국가를 포함해 총 22개 무슬림 다수 국가가 동참했다.
이들 국가는 “이스라엘의 이란 공격은 국제법 위반이자 중동 전체의 안정을 위협하는 위험한 도발”이라며, 즉각적인 적대행위 중단과 핵시설 공격 자제를 촉구했다.
주요 내용 요약
- 공동 규탄: 이슬람권 22개국은 “이스라엘이 6월 13일 이후 이란에 가한 일련의 군사 공격을 단호히 거부하고 규탄한다”고 밝혔다.
- 확전 우려: “계속되는 긴장 고조는 중동 전역의 대규모 분쟁으로 확산될 수 있다”며 “즉각 외교적 해법으로 복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핵시설 공격 자제: 이스라엘에 “이란 핵시설 등 민감한 목표에 대한 추가 공격을 삼가라”고 촉구했다.
- 핵 협상 재개 촉구: 미국과 이란의 핵 협상(이란 핵합의·JCPOA) 중단 사태를 우려하며 “지속 가능한 합의 도출만이 유일한 해법”이라고 밝혔다.
- 외교적 해법 강조: “모든 당사국은 자제하고, 외교적 협상 테이블로 복귀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집트·사우디 등 주요국 반응
- 이집트: “극도로 위험한 지역 긴장 고조 행위”라며 이스라엘을 강력히 비판.
-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에 대한 노골적인 침략행위”로 규정, 국제법 위반을 지적.
- 카타르·오만: “이란 주권 침해”와 “위험한 확전 행위”라고 규탄.
- 요르단: 직접적 책임 언급은 피하면서도 “자국 안전 침해 불가” 입장 표명.
외교적 파장 및 전망
이번 공동 규탄은 이스라엘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국가들까지 동참한 이례적인 일로, 이란과의 갈등이 중동 전체의 안보 위기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됐다.
이란-미국 간 핵 협상도 교착상태에 빠지며, 국제사회는 중동의 대규모 확전 가능성에 긴장하고 있다.
이슬람권 22개국이 이스라엘의 이란 공습을 강력히 규탄하며, 핵시설 공격 중단과 외교적 해법 복귀를 촉구했다. 중동의 긴장 고조가 대규모 확전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