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격 결정에 이란 핵보유 ‘9부능선’ 판단·對이스라엘 유대감 작용 가능성
트럼프 “이란 핵농축시설 완전 파괴”…사실이면 핵프로그램 단기 재건 어려워
핵포기-반격 사이 기로에 선 이란…美기지 공격·호르무즈 봉쇄시 큰 파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결단 하에 미군이 21일(현지시간) 이란 핵시설 3곳을 전격 공습하면서 이란 핵문제와 그에 연결된 이스라엘-이란 무력 충돌, 그것을 넘어선 중동 정세 등이 일제히 중대한 갈림길에 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우리는 포르도와 나탄즈, 이스파한 등 이란의 3개 핵 시설에 대한 매우 성공적인 공격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대국민 연설에서 “공습은 군사적으로 극적인 성공이었다. 이란의 주요 핵농축 시설은 완전히 전적으로 제거됐다”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 백악관 대변인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수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란과의 협상 가능성이 상당(substantial)하다는 사실에 근거해 나는 앞으로 2주 안에 진행할지 말지(공격에 나설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20일에는 “그들(이란)에게 시간을 주고 있다”며 “나는 2주가 최대치라고 말하겠다”고 밝히고, 2주라는 시간은 “(이란)사람들이 정신을 차리는지 보는” 시간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2주 안에'(within 2 weeks) 대(對)이란 공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기에 해당 발언 이틀 만에 이뤄진 이번 공격은 엄밀히 말해 자신의 발언을 뒤집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할 수도 있어 보인다.
그러나 이란에 핵 포기 결단을 할 2주의 시한을 부여했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대한 전 세계 언론의 대체적인 해석이었다. 따라서 지난 19일 기준으로 2주 안에는 미국이 이란에 대한 공격을 하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많았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2주 이내 결정’ 언급은 이미 이란 핵시설을 공격하기로 결단한 상황에서 펼친 ‘연막’ 전술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 이와함께 이란에 더 시간을 줘도 원하는 협상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과, 이스라엘의 거듭된 지원 요청 속에 조기에 결단을 내린 것일 가능성이 동시에 거론된다.
국내적으로는 미국의 초당적 대(對)이스라엘 지지·지원 기조 및 이란 핵보유 불용 원칙과,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트럼프의 선거 구호)로 불리는 트럼프 핵심 지지층 상당수의 해외 전쟁 개입 자제 요구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에 더 무게를 둔 결과로 풀이된다.
9·11 테러 이후인 2000년대 초반 미국은 공화당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시작한 아프가니스탄전쟁과 이라크전쟁의 늪에 빠져 엄청난 비용을 치르고, 수많은 장병이 희생했는데, 트럼프 대통령과 그 지지자들이 주창한 ‘미국 우선주의’는 그와 같은 대외 군사개입을 앞으로는 최대한 자제한다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대이란 공격을 결정한 것은 이란 공격을 통해 이란의 핵 개발을 늦추지 않으면 자신의 임기 초반 이란이 핵무기를 갖게 된다는 위기의식, 이스라엘 지원에 대한 미국 내 초당적 공감대와 함께 이스라엘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정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9일 백악관 대변인을 통해 “가까운 미래에 일어날 수도,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이란과의 협상 가능성이 상당(substantial)하다는 사실에 근거해 나는 앞으로 2주 안에 진행할지 말지(공격에 나설지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20일에는 “그들(이란)에게 시간을 주고 있다”며 “나는 2주가 최대치라고 말하겠다”고 밝히고, 2주라는 시간은 “(이란)사람들이 정신을 차리는지 보는” 시간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트럼프 대통령이 ‘2주 안에'(within 2 weeks) 대(對)이란 공격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했기에 해당 발언 이틀 만에 이뤄진 이번 공격은 엄밀히 말해 자신의 발언을 뒤집은 것은 아니라고 주장할 수도 있어 보인다.
그러나 이란에 핵 포기 결단을 할 2주의 시한을 부여했다는 것이 트럼프 대통령 발언에 대한 전 세계 언론의 대체적인 해석이었다. 따라서 지난 19일 기준으로 2주 안에는 미국이 이란에 대한 공격을 하지 않으리라는 관측이 많았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2주 이내 결정’ 언급은 이미 이란 핵시설을 공격하기로 결단한 상황에서 펼친 ‘연막’ 전술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또 이와함께 이란에 더 시간을 줘도 원하는 협상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는 판단과, 이스라엘의 거듭된 지원 요청 속에 조기에 결단을 내린 것일 가능성이 동시에 거론된다.
국내적으로는 미국의 초당적 대(對)이스라엘 지지·지원 기조 및 이란 핵보유 불용 원칙과, ‘마가'(MAGA·Make America Great Again·미국을 다시 위대하게·트럼프의 선거 구호)로 불리는 트럼프 핵심 지지층 상당수의 해외 전쟁 개입 자제 요구 속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자에 더 무게를 둔 결과로 풀이된다.
9·11 테러 이후인 2000년대 초반 미국은 공화당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시작한 아프가니스탄전쟁과 이라크전쟁의 늪에 빠져 엄청난 비용을 치르고, 수많은 장병이 희생했는데, 트럼프 대통령과 그 지지자들이 주창한 ‘미국 우선주의’는 그와 같은 대외 군사개입을 앞으로는 최대한 자제한다는 것이 중요한 부분이었다.
그럼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대이란 공격을 결정한 것은 이란 공격을 통해 이란의 핵 개발을 늦추지 않으면 자신의 임기 초반 이란이 핵무기를 갖게 된다는 위기의식, 이스라엘 지원에 대한 미국 내 초당적 공감대와 함께 이스라엘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 정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