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행정부 조치로 전쟁터로 돌아갈까 두렵다”… 가족, 불안과 분노 호소
#아마존 #이민정책 #인도주의체류 #추방위기 #트럼프행정부 #CHNV프로그램 #이민자권리
미국 인디애나주에서 일하던 아마존 직원이 인도주의 체류 허가(휴머니테리언 패롤)가 트럼프 행정부에 의해 박탈되면서, 전쟁 중인 고국으로 강제추방될 위기에 처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33세의 아이티 출신 다프니 S. 포토는 2023년 7월 4일, 바이든 행정부가 도입한 CHNV(쿠바·아이티·니카라과·베네수엘라) 인도주의 체류 프로그램을 통해 미국에 입국, 인디애나 스피드웨이에 위치한 아마존 반품센터에서 일해왔다. 그러나 지난 6월 14일, 체류 자격이 박탈되면서 근무 도중 해고됐다.
CHNV 프로그램은 바이든 행정부가 2023년 초 도입한 정책으로, 미국 내 스폰서를 둔 쿠바·아이티·니카라과·베네수엘라 출신에게 최대 2년간 미국에서 합법적으로 거주하고 일할 수 있는 임시 체류 자격을 부여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2025년 3월 행정명령(EO 14165)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종료하고, 4월 24일 이후 체류 자격이 만료되지 않은 이들의 체류 허가도 일괄적으로 취소하면서 53만 명이 넘는 이민자가 추방 위기에 놓였다.
포토 씨는 아직 이민 당국에 체포되거나 구금되지는 않았지만, 미국 시민권자인 남편 크리스토퍼 D. 빈센트(45)는 “언젠가 이민세관단속국(ICE)이 아내를 잡으러 올까봐 두렵다. 최근 뉴스에서 검은 마스크를 쓴 사람들이 이민자를 잡으려 한다는 소식이 많다”며 “판사와 국회의원도 체포되는 세상에, 우리 같은 평범한 사람들은 얼마나 불안하겠나. 아내의 유일한 ‘죄’는 ‘잘못된’ 나라 출신이라는 것뿐”이라고 토로했다.
이번 조치는 연방대법원이 트럼프 행정부의 CHNV 프로그램 폐지 집행정지 요청을 받아들이면서 가능해졌다. 이에 따라 수십만 명의 이민자가 체류 불안과 생계 위기에 내몰리고 있다23.
“인도주의 체류는 비자나 시민권 취득 경로가 아니며, 긴급한 인도적 사유가 있을 때만 임시로 미국 체류를 허가하는 제도다. 이번 대법원 결정으로 체류 허가 요건이 더욱 엄격해지고, 추가적인 체류 취소가 이어질 수 있다.”
이번 사태는 미국 내 이민자 권리와 인도주의 정책의 미래에 대한 논란을 더욱 키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