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긴장 고조 속 미국 내 안보 위협 경고, 국경·사이버 공격 우려 커져
#해외안보 #미국뉴스 #이란 #팸본디 #미국법무부 #국경안보 #테러위협 #사이버공격 #슬리퍼셀 #중동정세 #미국정치
미국 법무부 장관 팸 본디(Pam Bondi)가 최근 이란과의 군사적 긴장 고조에 따라, 이란 국적자의 불법 입국 문제와 관련해 미국 법무부(DOJ)가 ‘초비상’ 상태에 돌입했다고 밝혔습니다.
본디 장관은 하원 예산 청문회에서 “2021년부터 2024년까지 1,500명 이상의 이란 국적자가 남부 국경을 통해 불법 입국했으며, 이 중 729명이 미국 내로 풀려났다”고 공개했습니다. 이는 최근 미국의 이란 핵시설 공습과 이란의 미군기지 미사일 공격 등 중동 정세 악화와 맞물려 미국 내 안보 위협이 크게 높아졌음을 시사합니다.
법무부와 국토안보부(DHS)는 “이란과의 갈등으로 인해 극단주의자들의 테러, 사이버 공격, 반유대주의 범죄 등 다양한 위협이 증가하고 있다”며, 모든 관련 기관이 긴밀히 협력 중임을 강조했습니다. 특히, 이란 ‘슬리퍼 셀’(잠복 테러조직) 존재 여부에 대한 구체적 언급은 공개석상에서 피했으나, “국가 안보를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의회에서는 DOJ 예산 삭감 움직임에 대해 여야 모두 “국가 안보 위협이 극심한 시기에 부적절하다”며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주요 내용 요약
- 이란 국적자 불법 입국: 바이든 행정부 기간 1,504명 체포, 729명 미국 내 풀려남
- DOJ 대응: 슬리퍼 셀 등 구체적 위협 공개는 거부, “초비상” 상태
- 국토안보부 경고: 테러·사이버 공격·반유대주의 등 다양한 위협 증가
- 의회 반응: DOJ 예산 삭감에 여야 모두 우려 표명
- 중동 정세: 미국-이란 군사 충돌 후 불안정한 휴전 상태